티스토리 뷰

반응형

 

 WHO(세계보건기구) 저혈압 기준은?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저혈압의 명확한 기준을 따로 규정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90mmHg 이하 또는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 60mmHg 이하일 경우 저혈압(Hypotension) 으로 간주합니다.

이는 미국심장협회(AHA)나 유럽심장학회(ESC)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기준입니다.


저혈압 기준 정리

혈압 범위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mmHg)이완기 혈압(최저 혈압, mmHg)

정상 혈압 90~120 60~80
저혈압 90 이하 60 이하
고혈압 전단계 120~129 80 미만
1기 고혈압 130~139 80~89
2기 고혈압 140 이상 90 이상

💡 즉,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60mmHg 미만이면 저혈압으로 간주됩니다.


저혈압의 유형

저혈압은 단순히 혈압이 낮은 것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 갑자기 일어설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
  •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
  • 원인: 탈수, 노화, 신경계 이상, 특정 약물 복용

2️⃣ 식후 저혈압(Postprandial Hypotension)

  • 식사 후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
  • 노인에게 흔하며, 당뇨병 환자도 위험할 수 있음
  • 원인: 식사 후 소화기관으로 혈액이 몰리면서 혈압 저하

3️⃣ 신경매개 저혈압(Neurally Mediated Hypotension, NMH)

  • 오랜 시간 서 있을 때 혈압이 낮아지는 경우
  • 뇌와 심장의 신경 신호 전달 오류로 발생
  • 원인: 스트레스, 공황장애, 만성 피로 증후군

4️⃣ 심각한 저혈압(쇼크 상태, Severe Hypotension)

  • 혈압이 위험할 정도로 낮아져 신체의 중요한 장기에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
  • 응급 치료가 필요한 위험한 상태
  • 원인: 심각한 감염(패혈증), 심부전, 출혈, 심한 탈수

WHO 기준으로 저혈압이 건강에 문제될까요?

증상이 없다면 건강한 저혈압일 수도 있음!
👉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혈압이 낮아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건강한 저혈압(Healthy Hypotension) 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다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 저혈압이 지속되면서 어지럼증, 실신, 피로,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저혈압을 관리하는 방법

물 충분히 마시기 💧 (하루 1.5~2L)
소금 적당히 섭취하기 🧂 (하지만 고혈압 위험군은 조심!)
규칙적인 식사와 균형 잡힌 영양 섭취 🍎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보충)
갑자기 일어나지 않기 ⚠ (기립성 저혈압 예방)
적당한 운동하기 🏃‍♂️ (혈액순환 촉진)
과도한 음주 & 카페인 섭취 줄이기 ☕🚫


결론: WHO에서는 저혈압의 공식적인 기준을 따로 두고 있지는 않지만, 90/60mmHg 이하일 경우 저혈압으로 간주합니다.
증상이 없다면 건강한 저혈압일 수 있지만, 증상이 있다면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필요하면 병원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반응형